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2018년 희망키움샵에서 만나는 특별한 선물

가치담은 선/물/세/트 

 

 

선물하기 많은 요즈음,

특별한 당신이 소중한 사람에게 

감사를 전하는 탁월한 선택! 

 

사회적경제 공동판매 플랫폼 '희망키움샵'에서 

엣지있고, 가치담은 선물 준비하세요!



출처: https://www.maposehub.net/132 [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트립티 (아름다운 나눔, 착한 소비/공정무역-커피) http://tripti.co.kr/

성미산 좋은날협동조합 (공정무역 유기농커피) https://sungmisangoodday.modoo.at/

AFN Fairday (아시아공정무역네트워크) http://asiafairtrade.net/

공기핸디크래프트 (공정무역 수제공예품)  http://gong-gi.com/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유베베협동조합 (핸드메이드 패브릭 제품) https://smartstore.naver.com/iubebe/category/ALL?cp=1

닥터노아 (대나무 칫솔, 치약세트)  https://www.doctornoah.net/

비누두레 (숙성비누와 아로마용품 제작판매공방)  https://smartstore.naver.com/slslbi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동네정미소(당일 도정한 쌀, 건강한 제철 밥상) https://smartstore.naver.com/jungmiso815

AFN Fairday (아시아공정무역네트워크) http://asiafairtrade.net/

트립티 (아름다운 나눔, 착한 소비/공정무역 비정제사탕수수 원당) http://tripti.co.kr/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마맘크레 (우리토양에서 자란 유기농작물을 이용, 천연유래성분 천연화장품)  https://smartstore.naver.com/webaby486

닥터노아 (대나무 칫솔, 치약세트)  https://www.doctornoah.net/

비누두레 (숙성비누와 아로마용품 제작판매공방)  https://smartstore.naver.com/slslbi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비누두레 (숙성비누와 아로마용품 제작판매공방)  https://smartstore.naver.com/slslbi

아이유베베협동조합 (핸드메이드 패브릭 제품) https://smartstore.naver.com/iubebe/category/ALL?cp=1

 

 

 

각 제품은 희망키움샵 오프라인 매장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트립티 (아름다운 나눔, 착한 소비/공정무역-커피) http://tripti.co.kr/

성미산 좋은날협동조합 (공정무역 유기농커피) https://sungmisangoodday.modoo.at/

동네정미소(당일 도정한 쌀, 건강한 제철 밥상) https://smartstore.naver.com/jungmiso815

비누두레 (숙성비누와 아로마용품 제작판매공방)  https://smartstore.naver.com/slslbi

 

 

 

Comment +0

2019 마포사회적경제포럼 – 마포구 사회적경제 조례 이후 지역의 과제

우리의 역할: 마포사회적경제네트워크 × 마포구 × 마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일시: 2019.04.24.(수) 16:00~ 18:00 

장소: 합정동 주민센터 1층 강의실

 

 

김연아 (성공회대학교 사회적기업연구센터, 연구교수)

1.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제정의 의미가 큼. 마포구에 맞는 협치 기대

2. 행정과 민간의 결합이 중요함(집행절차의 변화 필요)

3. 거버넌스 역할 현실화(심의 기구를 넘어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기획단 설치 필요)

- 주체 양성과 지원(행정, 인적 지원 필요)

- 의회의 역할 필요(의회와 거버넌스) : 시민대상 교육이 아니라 행정공무원, 시/구의원 대상 교육 필요

4. 구정 전반의 전략을 수립할 때 스며들어야 함.

 

홍진주 (마포구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센터장)

1. 발 빠르게 자치구의 속도로 움직인 곳은 민간의 역량이 따라가지 못한다. 마포구는 민간의 역량만큼 움직였고 점차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함.

2. 주체가 누구일까. //시민/지역으로 확장 되고 있고 중요한 주체이다.

- 공동의 문제 해결 주체로서 인식되어야 함. 소셜벤처 중심의 사업 조직화 현상에 대해 고민해 봐야 함.

3. 중앙부처/광역의 정책 추동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가?

- 서울시 정책 사업은 왜 지역조직이나 시민들이 소외되어 있는가.

4. 지역사회 계획과 연계한 생산모델 구축 모델사업 필요함(향후 포럼 주제화)

 

 

 

추연호 (마포구 일자리경제과 과장)

1. 글자에 머물지 않고 노력 필요함

2. 사회적경제 기본조례 설명 - 위원회 구성, 지원센터 설치 및 위탁 운영, 공격적 공공구매 필요

3. 민과 관이 바라보는 것이 다름 - 파트너가 필요함(만남의 기회로 해결)

 

한선경 (괜찮아요협동조합 대표)

1. 주민(시민)의 경제문제가 사회적 경제 - 살림살이 경제

2. 우리끼리 경쟁구도 - 일자리를 준다. 사업을 준다.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소모되는 느낌

3. 호혜경제는 쌍방향이 아니라 순환구조

- 자격있는 사람이나 조직 중심이 아니라 보편적 원리 속에 있어야 함 (가진 것이 없는 사람은 없다)

- 지역화폐, 개인의 소비의사결정 등에 주목할 필요

4. 실용적 역량을 갖추자 - 재원확보 방법, 성과평가 방식 논의 필요(향후 포럼 주제화)

 

고은주 (울림두레돌봄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1. 조례가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지망이 되길 바람

2. 20년 협동조합 활동을 했으나, 왜 계속 힘들까.

- 조합원 중심주의, 조합원의 자발성에 의존 -> 조합원이 아니라 시민으로 향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반성하게 됨.

3. 지역사회 공통의 주제에 응해야 한다(향후 포럼 주제화)

4. 내가 살고 싶은 곳에서 살자

- 마포구 모든 과와 함께하는 거버넌스 기대. (모든 생활영역으로 확장)

- 살고 싶은 곳의 사례를 만들자. (SOS센터, 지역자산화 - 거버넌스로 함께 만들자)

- 자치구의 비영리사업 수탁 주체가 되자.

 

 

정리 : 구은경 이사 (여성이 만드는 일과 미래)

 

 

 

 

 

 

첨부파일_2019 마포 사회적경제 포럼 자료집

 

2019 마포사회적경제포럼_자료집_20190424.pdf
0.89MB
2019 마포사회적경제포럼_회의록_20190424.pdf
1.92MB

Comment +0

뜨거운 열기속에 치뤄진 '2019년 서울시 공공구매 상담회'





지난 3월 27일(수) ~ 28일(목) 서울시청에서 2019년 서울시 공공구매 상담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정부 및 서울시에서는 공공기관 우선구매 제도에 의해서 사회적기업의 제화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판로지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기업에는 큰 도움이 되는 행사였습니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서울시 및 서울시 자치구, 서울시투자출연기과에 사전에 공공구매 참여 기관을 모집했고 151개 부서, 344개의 사업이 참여신청을 하였습니다. 이어서 해당 사업과 사업추진이 가능한, 상암을 희망하는 사회적기업을 모집하여 상담회가 진행되었습니다. 1개 기업당 2일에 걸쳐서 총 여섯번의 상담기회가 주어졌습니다.




저희 센터에서는 현장 분위기 파악 및 마포에 있는 사회적기업과 공공구매를 연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의 사업 추진이 적절한지 알아보기 위해 현장을 찾았습니다. 그럼 현장 소개를 사진으로 이어가겠습니다.





예정된 행사는 10시부터 진행이 되었는데 저희는 점심 즈음 도착하여서 1시까지는 입장이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서울시청 지하1층에 있는 공정무역 커피숍 지구마을에서 커피 한잔씩을 하면서 입장 시간을 기다렸습니다. 



 



행사는 서울시청 8층에서 진행되었는데 입구에는 이렇게 이번 공공구매 상담회에 참여하는 사업추진 기관의 상담 일정표가 붙어 있었습니다. 

일정표 앞으로 마련된 부스에서는 접수부스가 마련되어 사전 신청을 한 기업의 이름 확인을 하고 참가증을 받은 후에 입장이 가능했습니다. 





한쪽 옆으로 사전 신청을 하지 못하고 방문한 기업을 위해 현장등록 부스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이번 행사를 위해 많은 준비를 한것을 입구에서부터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럼 행사장 안으로 들어가 볼까요?



 



행사장에 들어서면 바로 왼편으로 종합안내소가 위치해 있고, 바로 앞쪽, 입구에 들어서자 마자 볼수 있는 상담 진행표가 놓여져 있습니다. 실시간으로 상담이 진행되고 있는 현황과 함께 현장접수가 가능한 곳을 알 수 있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습니다. 한편에서는 미처 신청을 하지 못하고 온 기업을 위해 현장접수가 가능한 곳을 연결해주는 현장부스가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신청을 하지 못한 기업은 이곳에서 현장접수를 통해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었는데 대부분 사전에 신청이 이루어져서 실제 연결이 되는 곳은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신청하지 못한 기업들은 현장에서 기다리면서 상담을 희망하는 사업의 상담이 일찍 끝난 경우 다음 상담이 진행되기 전 비어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담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많은 기업이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운영팀에서 여러가지로 배려를 해주고 있단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부스의 한쪽 벽면을 활용해서는 사회적경제 현황 정보를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공공구매 상담회는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는 1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한 노력을 지혹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특히 유리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경영지원실의 판로지팀장님께서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각 지역에서 상시로 연결가능한 공공구매 판로지원 시스템을 만들어 갈 예정이라고 하셨습니다. 

특히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로 연결 요청이 오는 다양한 요청에 대해서 상시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사회적기업들이 자신들의 제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에 등록해주길 원한다고 얘기해주셨습니다. 상시적인 관리를 통해 공공에서의 요청이 있을때 바로바로 연결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고 보다 효과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서비스가 사회에 진출하도록 저희한테도 지역의 많은 사회적기업에게 홍보를 부탁했습니다.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의 공공구매 판로지원 희망기업 상시모집 공고 

http://sehub.net/archives/2024427



저희 센터도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및 경영활동 지원을 위해서 이러한 공공구매 활동을 촉진하고 지역에서 다양한 기업이 기회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의 지원이 가장 효과적인지 고민해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마포구 사회적경제통합지원센터 

Comment +0